[뉴스큐브] 신규확진 사흘째 두 자릿수…산발 감염은 여전<br /><br /><br />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1명 늘어 사흘 연속 두 자릿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속적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학교와 의료기관을 비롯해 곳곳에서 산발적인 집단감염이 잇따르고 있어 불안감은 여전합니다.<br /><br />자세한 소식, 김경우 서울 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이 소식부터 짚고 가야 할 것 같습니다. 국무총리실 직원이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. 따라서 정세균 국무총리도 오늘 일정을 취소하고 코로나19 검사를 받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하루 확진자 수가 사흘째 두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. 그런데 주말에는 대체로 진단검사 건수가 줄어드는 점을 감안하면 아직 안심하기엔 이르다는 지적도 나오는데요. 현재 추이를 봤을 때 추석 전에 안정적인 상황으로 진입할 수 있을 거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전남 순천의 한 장례식장을 다녀간 60대 남성이 부산에서 확진 판정을 받는 일이 발생했는데요. 부산에서 확진자와 접촉해 자가격리 통지를 받고도 순천 장례식장을 찾아 무려 나흘간이나 머물렀다고요? 부산 북구보건소에서는 장례식에 참석한 걸 알고도 순천보건소로 통보하지 않았다고 하는데요. 지자체 간 정보공유가 안 된 점도 문제 같아요?<br /><br /> 방문판매업체발 집단감염 사례도 끊이질 않고 있는데요. 문제는 이런 업체가 지방 여기저기로 옮겨 다니거나, 참석자들을 통해 전국적 n차 감염의 뿌리가 되고 있다는 겁니다. 최근 강남의 다단계 업체 대표가 경북 칠곡에서 설명회를 연 후 감염이 전국 각지로 퍼지기도 했거든요? 특히 방문판매업체 설명회 등엔 고령층이 많이 참석한다는 점에서 집단감염 시 인명피해 우려도 큰데요. 여전히 집단감염 사례가 많은만큼 따로 규제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기도 한데,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그런가 하면 부산에서 같은 시간대에 식당을 이용했던 손님들이 잇따라 확진 판정을 받았는데요. 6개 탁자만 있는 소규모 식당인데, 5개 탁자에서 확진자가 나왔습니다. 역시 식사 중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게 문제였을까요? 마스크 쓴 직원들은 멀쩡하다고 합니다.<br /><br /> 그런가 하면 코로나19에 감염된 택시기사와 같은 차를 탄 승객 중 확진자가 한 명도 확인되지 않았는데요. 이 택시기사가 평소에 방역수칙을 잘 지켰던 것으로 드러나면서 개인 방역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. 구체적으로 이 택시기사가 지킨 방역 수칙, 뭐였는지 짚어볼 필요가 있어 보이는데요?<br /><br /> 최근 국내에서 처음으로 재감염으로 의심되는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방역당국의 긴장감이 높아졌었는데요. 여전히 '재감염 사례'라고 단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습니다. 그런데 만약 재감염으로 최종 판정을 내린다면 이건 어떤 의미를 담고 있다고 봐야할까요?<br /><br /> 최근 시행된 국가독감예방접종 사업이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. 안전 검사 뒤에 재개할 방침인데요. 독감백신 무료접종을 갑자기 중단한 배경이 일부 백신이 이송 과정 중 상온에 노출됐기 때문이라고 하던데, 그 이유가 뭔가요? 이미 8일부터 무료접종이 시작된 만큼 이미 맞은 아동들도 있을텐데, 이런 경우엔 문제가 없는건가요?<br /><br /> 올 가을 코로나19와 독감이 동시에 유행하는 트윈데믹 가능성이 고조된 상황에서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감기까지 우려를 더하고 있습니다. 특히 환자한테 나타나는 임상적 증상만으로는 세 가지 중 어떤 질환에 걸렸는지를 구별하기 어려운 만큼 우려가 큰데요. 굳이 증상을 구분하자면 어떤 차이가 있나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